음악정리/음악교육론

한국 음악사 - 개화기

음악정리 2022. 1. 28. 21:22
반응형
1. 일반적인 음악교육  1) 학교 안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2) 1880년 미국의 선교사들이 학교를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1) 배재학당(1886년) 1889년 교과목 '창가'가 포함
(2) 이화학당(1886년) 1891년 성악과 오르간을 가르쳤다는 내용이 있다.
(3) 연동여학교 교과목에 음악이 들어 있었다.
2. 찬송가 1) 기독교계 사립학교에서 가르친 음악의 주요내용
2) 한국의 음악계에 서양음악교육의 초석이 놓여지게 되었다.
3. 한국인들이 서양음악에 접촉되기 시작
(1) 18세기 전반 연행사(중국에 보낸 사신)들이 중국 북경의 천주당의 서양음악을 접한 것
(2) '오주연장전산고' 1) 1830년대 이규경이 지었다.
2) 백과사전적인 책에 서양음악의 초보적인 이론이 소개되었다.
(3) 신식 군대 창설 1) 이은돌 : 신식 군악대를 서양음악에 기초하여 지도
2) 조선에 이미 서양음악의 영향이 들어와 있었음을 보여준다.
(4) 학교음악 1) 선교사들이 학교 설립 - 서양음악이 유입의 시작
4. 창가 1) 기독교계 학교들과 민간 사학에서 음악 시간에 사용되었다.
2) 찬송가, 찬송가 선율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노래를 의미
(1) 창가의 변화 1) 찬송가 단계
2) 애국적인 가사를 창가로 노래한 단계 
3) 일반적인 내용의 가사로 진전한 단계
4) 보다 복잡한 구조의 예술음악과 대중음악으로 발전한 단계
5) 이 과정에서 일본의 음악이 창가의 변천 과정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창가를 사용한 목적 1) 학생들에게 무너져가는 조국을 구해낼 수 있는 애국자들을 길러내기 위해 
2) 일제 식민 통치(1910년) - 조선에 대한 애국심을 강조하는 창가들은 탄압을 받음 
                                     국민들은 몰래 부르는 노래가 되고 말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