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민락
1. 여민락의 다른이름(아명) 2가지는 승평만세지곡, 오운개서조이다.
1)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면 : 승평만세지곡이라 부르고,
2) 현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면 : 오운개서조라 부른다.
3) 현재는 관현악 합주로 연주하여 승평만세지곡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2. 여민락의 구성은 7장 구성이다.
* 원래 10장 구성이나 마지막 3장(125장)은 없어지고, 현재 7장까지만 전해진다.
3. 여민락의 장단은
1) 여민락 1 ~ 3장 : 갈라치는 20박
2) 여민락 4 ~ 7장 : 10박
3) 여민락 1~3장은 20박, 4~7장은 10박 장단으로 연주하여, 갑자기 속도가 빨라진다.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을 '급박' 이라 한다.
4) 각 장은 32장단으로 구성되는데,
1~12장단까지는 원가락(12장단), 13~32장단까지는 여음(20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여민락의 악기편성은 향피리, 대금, 해금, 거문고, 가야금, 장고, 좌고, 아쟁, 박 등 향피리 중심의 관현악 합주 편성 이다.
4. 여민락의 악기 연주법은
1) 향피리의 음량이 크기 때문에 거문고, 가야금, 대금, 해금과 같은 악기가 더 많이 편성된다.
2) 장구는 채편의 복판을 연주한다.
3) 해금은 원산을 내려 소리를 크게 낸다.
4) 각 장의 여음부분에서 처음 부분을 피리의 수잽이가 뒷구멍 하나로 쇠는 가락을 연주한다.
* 수잽이 : 악기 연주자 중 수석 주자를 수잽이라 한다.
* '쇤다'는 말은 '높인다' 라는 뜻이며, 쇠는가락은 낮은 음역으로 진행되는 선율선의 어느 부분을 1 옥타브 위로 올려서 연주하는 가락을 말한다.
5. 여민락의 음계는 황종궁 평조(황(E♭)-태(F)-중(A♭)-임(B♭)-남(C)) 5음 음계이다.
♧ 무역음이 나오는데 6장에 한 번 출현하기 때문에 5음 음계로 볼 수 있다.
6. 여민락의 쓰임새는 궁중 연례악으로 쓰인다.
7. 여민락의 특징은
1) 4장부터 10박으로 바뀌어 연주되는데, 속도가 갑자기 빨라져 이를 '급박' 이라 한다.
2) 각 장의 여음부분에서 피리가 '쇠는가락'을 연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