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악/여민락

(5)
해 령 해 령 1. 해령은 여민락령(본령)의 변주곡으로, 본령의 32마루 중 1~16마루를 풀어서 변주한 곡이다. → 변주 방법 : 본령의 음과 음 사이에 사이음을 삽입하거나 앞뒤에 장식음을 넣어 변화시켰다. → 해령은 조선 후기에 생겨난 곡이다. 2. 해령의 다른 이름(아명)은 서일화지곡이다. 3. 해령의 구성은 16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4. 해령의 악기편성은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방향, 박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 편성이다. 5. 해령의 음계는 황(C)-태(D)-고(E)-중(F)-임(G)-남(A)-응(B)의 7음 음계로 구성된다. * '고선'은 2회 출현, '응종'은 1회 출현하여 7음 음계를 느끼기 어렵다. 6. 해령의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다. 7. 해령의 특징..
여민락령 여민락령 1. 여민락령의 다른 이름(아명)은 태평춘지곡, 본령 이다. ▷ 본령 : 여민락령을 변조하여 생긴 '해령' 이후로 , ' 해령 '에 대한 ‘ 본래의 영 ’ 이라는 뜻에서 ' 본령 ' 이라 부르게 되었다. 2. 여민락령의 구성은 현재 초장만 전해지고 있어, 초장(32마루)만 구성되어있다. 3. 여민락령의 악기편성은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방향, 박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 편성이다. 4. 여민락령의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다. 5. 여민락령의 음계는 황(C)-태(D)-중(F)-임(G)-남(A)의 5음 음계이다. 6. 여민락령의 쓰임새는 궁중의 행악, 연례악으로 쓰였다. 7. 여민락령의 특징은 1) 불규칙 장단과 장의 구분이 없다. 2) 「속악원보」에 여민락령의..
여민락만 여민락만 1. 『세종실록』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는 것은 여민락만이며, 여민락 계열의 음악 중 가장 오래된 곡이다. 2. 여민락만의 다른이름 (아명) 은 경록무강지곡 이다. 3. 여민락만의 구성은 10장 구성이다. ( 각 장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다 ) 4. 여민락만의 악기편성은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방향, 박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 편성이다. 5. 여민락만의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다. * 원래는 규칙적인 장단에 용비어천가의 한문가사를 얹어부르던 음악이었으나, 점차 가사를 부르지 않게 되면서 불규칙 장단으로 변화되었다. 6. 여민락만의 음계는 황(C)-태(D)-고(E)-중(F)-임(G)-남(A)-응(B)의 6음 음계로 구성된다. 7. 여민락만의 쓰임새는 주로 행악(..
여민락 여민락 1. 여민락의 다른이름(아명) 2가지는 승평만세지곡, 오운개서조이다. 1)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면 : 승평만세지곡이라 부르고, 2) 현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면 : 오운개서조라 부른다. 3) 현재는 관현악 합주로 연주하여 승평만세지곡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2. 여민락의 구성은 7장 구성이다. * 원래 10장 구성이나 마지막 3장(125장)은 없어지고, 현재 7장까지만 전해진다. 3. 여민락의 장단은 1) 여민락 1 ~ 3장 : 갈라치는 20박 2) 여민락 4 ~ 7장 : 10박 3) 여민락 1~3장은 20박, 4~7장은 10박 장단으로 연주하여, 갑자기 속도가 빨라진다.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을 '급박' 이라 한다. 4) 각 장은 32장단으로 구성되는데, 1~12장단까지는 원가락..
여민락(與民樂)을 들어가며- 여민락(與民樂)을 들어가며- 1. 여민락(與民樂)은 ‘백성과 함께 즐긴다 ’ 는 뜻이다. 2. 조선 세종 때 창제된 <봉래의(鳳來儀)>궁중정재의 무용음악 중 2번째 음악이다. ▷ 봉래의(鳳來儀) - 궁중정재(정재 : 춤과 노래) 1) 봉래의는 1445년(세종27) 4월 권제 · 정인지 · 안지 등이 지어올린 ‘용비어천가’의 가사에 맞춰 무악(舞樂)으로 구성한 향악정재 중 하나이다. * 무악(舞樂) : 춤추는 음악 2) 봉래의 음악 구성 : 전인자 · 진구호 · 여민락 · 치화평 · 취풍형 · 후인자 · 퇴구호 전인자 : 죽간자가 등장할 때 관현악기으로 연주 진구호 : 춤이 시작될 때 음악없이 죽간자가 부르는 창사 여민락 : 1 ~ 4장, 125장의 한문으로 된 ‘ 용비어천가 ’ 를 노래 치화평, 취풍형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