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악

(24)
남도잡가 남도잡가 남도잡가 전라도 지방의 대표적인 잡가 화초사거리, 보렴, 성조풀이, 새타령 등 모두 사당패 소리에서 나온 것 화초사거리 1915년 무렵에 판염불이라고 하였다. 내용 - 불교적인 것이 담겨있고, 가락이 염불 같아서 붙은 이름이다. 특히 장단이 긴 부분을 긴염불이라 하고, 후반부에 이르러 '화초를 다 심었더라' 는 대목을 화초염불로 부르기도 하였다. 지금은 화초사거리로 부른다. 현재 화초사거리 - 불가어(佛家語)로 된 부분은 사라지고, 2연인 '산천초목'부터 시작한다. 대체로 경기산타령 '놀량'의 사설과 비슷하다. 처음- 중모리 장단, 끝의 '만경창파' 에서부터 - 중중모리(또는 굿거리) 장단으로 부른다. 보렴 ① 순한문 가사 ② 왕가의 번영과 국태민안(國泰民安)을 먼저 중모리 장단에 맞춰 축원한 ..
민요 1. 민요 : 예로부터 민중들이 부르던 전통적인 노래 민족의 정서, 일, 풍속 놀이 등과 같은 삶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2. 우리나라 민요는 전파 범위에 따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되며, 지역과 음악적 특징에 따라 서도, 경기, 남도, 동부, 제주 민요로 나뉜다. 향토민요 : 그 지방에만 남아 다른 지방에 잘 알려지지 않은 민요 특정 지역에서만 불리며, 그 지방 특유의 감정과 정서가 담긴 민요이다 통속민요 : 한 지방에서 생겨났으나 전국에 알려진 노래 전문 소리꾼에 의해 전국적으로 널리 알리진 민요이다. 3. 토리 : 각 지방에 따라 독특하게 구별되는 음악적 특징을 말한다. 1) 경토리 (경기도 민요의 토리) 1.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일부 지역에 불리는 민요 2. 맑고 깨끗한 창법을 사용하..
시조 시조의 율격 : 3장 6구의 형식 한 연이 초장, 중장, 종장으로 되어 있다. 종장의 첫 음보는 반드시 3음절 이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 글자 수가 가감될 수 있다. 시조 : 시조에 곡조를 붙여 부르는 전통 성악곡 1) 시조의 제목은 대개 노랫말의 첫 구절을 따서 붙인다. 2) 조선 후기 풍류를 즐기는 지식인들이 주로 불렀다. 3) 평시조 :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구성 4) 특징 : 종장의 마지막 3음절 사설은 생략한다. 5) 장단 : 5, 8박 장단 6) 장구나 무릎장단에 맞춰 부른다. 7) 오늘날에는 단소, 대금, 해금, 세피리 등의 악기로 반주하기도 한다. 시조의 시김새 : 요성, 퇴성, 전성, 추성 1. 요성 : 음을 크게 흔들어 떨며 부른다. 2. 퇴성 : 긴장을 완화시켜 음을 흘러내리며 ..
도드리 도드리 1. 도드리 종류 2가지 1) 밑도드리 2) 웃도드리 2. 도드리 비교표 도드리 악곡 밑도드리 웃도드리 원곡 보허자의 환입 부분을 변주한 곡 밑도드리를 한 옥타브 위로 변주한 곡 아명 수연장지곡, 미환입, 도드리 송구여지곡, 세환입, 잔도드리 구성 7장 악기 편성 향피리, 거문고, 가야금, 대금, 해금, 장구, 좌고, 박 (관현악 합주) 장단 6박 도드리장단 형식 황두형식 선법 황종 평조( 황(黃)=E♭) 1. 원래 '도드리'라고 불렸는데, 웃도드리가 생긴 이후, 웃도드리와 구분하기 위해 밑도드리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 밑도드리란 ‘낮은 음역에서 연주하는 도드리’ 라는 뜻이다. 2. 밑도드리가 생겨난 배경 : 밑도드리는 보허자의 환입부분을 변주한 곡이다. (현악 보허자 미후사의 둘째구 환입가락에..
국악이론(기보법) 기보법 1. 율자보 : 12율명의 머릿글자로 표기한 기보법 장점 : 한 옥타브 안에 12율을 구비하고 있어 자유롭게 변조할 수 있다. 단점 : 음의 높이는 알 수 있으나 음의 길이는 알 수 없다. 수록악보 : 세종실록, 악학궤범 현재 문묘제례악인 응안지악의 기보법으로 쓰인다. 2. 공척보(=십자보) : 12율 4청성의 16음을 10개의 쉬운글자로 줄여 표기한 기보법 장점 : 10개의 쉬운 글자로 줄여 표기하여 기보가 편리하다. 단점 : 한 글자에 2~3개의 율명이 함께 쓰여 정확한 음높이를 알 수 없다. 수록악보 : 세종실록 중 임우의 대성악보, 세조실록 중 신제아악보 3. 약자보 : 공척보를 다시 약자로 표기한 기보법 장점 : 공척보 보다 더 기보가 편리하다. 단점 : 공척보를 알아야만 볼 수 있으며,..
국악이론(변조, 조옮김, 종지형) 국악이론(변조, 조옮김, 종지형) 1. 변조 - 국악에서 변조하는 방법 4가지 1) 한 곡 내에서 선법을 변형시킨 경우 (1) 평조에서 계면조로 변한 경우 - 가곡 중 ‘편락’ 3장 중간부터 계면조로 변조 - 가곡 중 ‘반엽’ 3장 후반, 중여음부터 계면조로 변조 - 가곡 중 ‘환계락’ 3장에서 계면조로 변조 (2) 계면조에서 평조로 변한 경우 - 가곡 중 ‘계락’ - 여창 ‘평롱’ 5장에서 평조로 변조 2) 원래 곡의 선법을 바꾸어 다른 곡을 만든 경우 (1) 평조에서 계면조로 변형된 경우 ① 고려 속악 ‘서경별곡’ (황종 평조) → ‘정대업’ 의 ‘영관’ (계면조) ② ‘보태평’ 의 ‘기명’ (평조) → ‘정대업’ 의 ‘독경’ (계면조) ③ ‘우조 초삭대엽’ → ‘계면 초삭대엽 3) 한 곡조 안에서 ..
국악이론(민속악) 국악이론(민속악) 1. 경기 민요 음계(경토리) - 경기 지방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솔 · 라 · 도 · 레 · 미’ 의 대표적인 평조 음계 2. 남도 민요 음계(육자배기토리) : 전라도 · 충청도 지방 일부에서 부르는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미 · 라 · 도시’ - 미 : 떠는 소리, - 라 : 평으로 내는 소리 - 시 : ‘도’에서 강하게 꺾어내는 소리 3. 서도 민요 음계(수심가토리) : 황해도 · 평안도 지방에서 부르는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레 · 라 · 도’ - ‘라’ 음을 잘게 떨어주며 콧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4. 동부 민요 음계(메나리토리) : 강원도 · 함경도 · 경상도 지방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미 · 솔 · 라 · 도 · 레’ - ' 미 · 라..
국악이론(악조) 국악이론(악조) 1. 『악학궤범』의 악조 : 『악학궤범』은 성종 때까지 우리나라 음악이론을 집대성한 책이다. '중국에는 궁 · 상 · 각 · 치 · 우 5조가 있는데, 우리 음악의 평조는 중국의 치조와 같고, 계면조는 중국의 우조와 같다’ 라고 기술되어 있다. 중국의 치 조 중국의 우 조 2. 악학궤범 ▷ 편찬 목적 : 1493년 성종 24년에 예조판서 성현, 유자광, 신말평, 박곤, 김복근 등이 왕명을 받아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편찬한 악서이다. 9권 3책으로 구성되었다. 3. 『악학궤범』 의 7조 : 평조와 계면조에 각각 7개의 음계를 설명한다. 7개의 조를 둘로 나누어 높은 조를 우조, 낮은 조를 낙시조라고 하는데, 낙시조는 평조로 이름이 바뀐다. 『악학궤범』 7조 각 조의 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