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정리/음악교육론

17세기 음악교육 - 1. 유럽의 음악교육

반응형
1. 17세기 유럽을 지배했던 실학주의 교육사조
2. 실학주의 1) 인문주의와 종교개혁가들의 편협성에 대립되는 사조
2) 과학적 탐구와 실제적인 생활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두며 
3)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학습에 주력한다.
4) 실사구시의 도야를 실현하려 하였다.
  * 실사구시 :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태도
3. 교육 목적 인간에게 필요한 지식을 가르쳐 사회에 유능한 인물을 양성
4. 교육 이념 및 실제 경험사물에 관한 교육을 강조
자연과학 관련교과를 중시
5. 음악교육을 지지했던 사상가
1) 코메니우스
   저서 '대 교수학' 





1) "학생들은 모두 유명한 교회 성가곡을 노래해야 한다."
2) 음악실기와 이론의 병행학습을 주장
3) 가창지도 - 계명창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
4) 음악교육의 목적 : 지식을 닦고 도덕심을 길러 신앙심을 고양하는 것
5) 인간교육 차원에서 음악교육을 해아한다고 주장한 것이 아니었다.
2) 밀턴 1)"숭고한 음악은 사람의 성품과 태도를 평온하고 고상하게 하는 위대한 힘이 있다"
2) 음악 - 생활의 휴식을 위한 오락적인 가치에 한정.
6.  인간교육의 기반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목표는 거의 무시되어 버린 시기
1) 로크 - "음악이 방탕한 마음을 조장하기 쉬워 음악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는 안된다."
2) 프랑케 - "음악이 세속적인 쾌락을 추구하기 때문에 어린이 교육에 해롭다"
3) 인간의 내면적, 미적 심성의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음악교육의 가치는 거의 외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