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17세기 유럽을 지배했던 실학주의 교육사조 | ||
2. 실학주의 | 1) 인문주의와 종교개혁가들의 편협성에 대립되는 사조 | |
2) 과학적 탐구와 실제적인 생활에 대해 새로운 관심을 두며 | ||
3)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학습에 주력한다. | ||
4) 실사구시의 도야를 실현하려 하였다. | ||
* 실사구시 :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태도 | ||
3. 교육 목적 | 인간에게 필요한 지식을 가르쳐 사회에 유능한 인물을 양성 | |
4. 교육 이념 및 실제 | 경험사물에 관한 교육을 강조 | |
자연과학 관련교과를 중시 | ||
5. 음악교육을 지지했던 사상가 | ||
1) 코메니우스 저서 '대 교수학' |
1) "학생들은 모두 유명한 교회 성가곡을 노래해야 한다." | |
2) 음악실기와 이론의 병행학습을 주장 | ||
3) 가창지도 - 계명창법을 적용할 것을 제안 | ||
4) 음악교육의 목적 : 지식을 닦고 도덕심을 길러 신앙심을 고양하는 것 | ||
5) 인간교육 차원에서 음악교육을 해아한다고 주장한 것이 아니었다. | ||
2) 밀턴 | 1)"숭고한 음악은 사람의 성품과 태도를 평온하고 고상하게 하는 위대한 힘이 있다" | |
2) 음악 - 생활의 휴식을 위한 오락적인 가치에 한정. | ||
6. 인간교육의 기반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목표는 거의 무시되어 버린 시기 |
1) 로크 - "음악이 방탕한 마음을 조장하기 쉬워 음악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는 안된다." | |
2) 프랑케 - "음악이 세속적인 쾌락을 추구하기 때문에 어린이 교육에 해롭다" | |
3) 인간의 내면적, 미적 심성의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음악교육의 가치는 거의 외면 |
728x90
반응형
'음악정리 > 음악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세기 음악교육 - 1. 유럽의 음악교육 (0) | 2022.01.24 |
---|---|
17세기 음악교육 - 2. 미국의 음악교육 (0) | 2022.01.24 |
르네상스시대의 음악교육 (0) | 2022.01.24 |
중세의 음악교육 (0) | 2022.01.19 |
고대 그리스와 로마 음악교육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