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정리/음악교육론

19세기 음악교육 - 2. 미국의 음악교육

반응형
1. 19세기 미국 음악교육의 체제 - 페스탈로치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2. 네겔리 저서 '가창지도법' 1) 페스탈로치의 교육이념과 방법을 적용
2) 우드브리지 등 미국 초기의 음악교육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3. 교육사상가
(1) 우드브리지 1) 학교교육에 음악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2) 네프 1) 1809년 페스탈로치의 방법에 기초하여 초등학교를 설립
2) 음악을 기본과목으로 하여 모든 아동들에게 음악교육을 제공
3) 1830년 미국교육연구소에서 '페스탈로치 음악 지도 체계의 원리'에 대한 개요를 발표
4) 오늘날까지 미국 음악교육의 지침이 되고 있다.
* 네프 '페스탈로치 음악 지도 체계의 원리' 내용
1) 기호를 가르치기 전에 소리를 가르치고
   음표와 그 이름을 배우기 전에 노래 부르는 것을 배우게 한다.
2) 소리를 듣고 모방함으로써 소리의 유사점과 상이점,적절한 효과와 부적적한 효과를 설명하기보다는
    능동적인 자세로 관찰하도록 이끌어준다.
3) 모든 것을 한꺼번에 직면하는 어려운 일에 도전하기 전에 리듬, 선율, 표현을 한 번에 한 가지씩만 가르치고
    따로따로 연습하게 한다.
4) 그것을 완전히 숙달하고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이러한 부분들의 각 단계를 연습하게 한다.
5) 연습 후에 원리와 이론을 알려준다.
6) 음악에 명확한 소리의 요소들을 응용하기 위하여 그 요소들을 분석하고 연습한다.
7) 기악음악에 사용된 것과 일치하는 음표의 이름을 알려 준다.
(3) 메이슨 1) " 모든 어린이에게 음악교육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4. 1838년 미국 보스턴 교육위원회 - 보스턴의 모든 학교에 음악을 정식 학과목으로 공식적인 승인
5. 1838년 허웨즈 학교 메이슨은 첫번째 음악교사 
 - 공립학교에서 어린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쳐야 한다는 이념을 보급
6. 19세기 후반  초등학교 출현 - 아동 음악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하게 부각.
7. 제프슨(B.Jepson) 1) 아동 합창음악의 효율적인 지도법을 개발
2) '음악 독본' 이라는 교재를 출판
8. 사회적인 현상 1) 가창학교에서 양성된 개인 교사 증가
2) 합창협회의 성장에 따른 합창 활동 증가
3) 오케스트라의 형성 ->국제적 예술가들 배출 -> 연주회 성행
9. 고등 음악교육기관 설립 보스턴 음악학교, 오벨린 컨서바토리, 뉴잉글랜드 음악학교
10. 하버드대학교와 미시간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 음악과가 신설됨
11. 1876년 미국음악교사협의회가 결성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