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정리/음악교육론

20세기 음악교육 - 1. 유럽의 음악교육

반응형
1. 20세기 유럽 
1) 페스탈로치의 교육이념을 발전시켜 음악교육의 개혁적인 변화
2) 음악교육의 철학이나 교육과정의 발달 - 음악교육에 대한 사고 확대
3) 교수 내용 및 방법, 학습 자료의 활용 - 다양성 요구 
2. 20세기 중엽 음악교육 철학 및 이론, 방법에 대한 연구 
1) 독일의 오르프
2) 스위스의 자크 달크로즈
3) 헝가리의 코다이
독일
1. 아도르노 1) 독일의 철학자, 음악사회학자
2) "학교 음악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음악의 언어와 작품을 이해하는 것을 배우고 표현 능력을 길러 음악의 질적인 면과 평가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3) 학교 음악교육이 미적 감수성을 기르는 것으로 전환해야 함을 되새겨 주었다.
2. 오르프 1) 독창적인 음악교육방법을 고안 - 학교 현장에 이를 적용
2) 전 세계에 혁신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
영국
1. 음악교육자들 중심으로 예술 감상이 교육의 중요 분야임을 강조
2. 헤이워드 '감상교수' 책 출간
3. 1944년 기악학습의 비중이 커짐 - 음악교육이 다양해지고 활발해짐
4. '예술과 청소년 프로젝트(1968~1972)'  -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
5. 오늘날 교육 포괄적 음악교육(가창, 기악, 감상, 창작)
프랑스
1. 1850년 - 음악이 필수 과목으로 초등교육에 포함
2. 1880년 - 제도적으로 실현
3. 1940년 - 사범대학교 음악교육 다루어짐. 음악교재 출판
4. 1964년 - 학교 음악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개혁을 위한 연구 및 실행
5. 그 결과 모든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음악을 배우게 되었으며
6. 프랑스 음악교육 수준을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