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정리/음악교육론

19세기 음악교육 - 1. 유럽의 음악교육

반응형
1. 19세기 유럽의 근대화  1) 시민사회 형성
2)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혁명
3) 자연과학이 만들어 낸 공업 기술의 발달
4) 민주적인 정치 제도의 실현
5) 신인문주의의 대두
2. 19세기 초 음악교육 1) 기본이념의 바탕  : 페스탈로치의 철학
2) 파이페르 네겔리등의 가창지도법이 적용되었다.
3. 실리주의에서 주지주의의 경향으로 흘러감에 따라 음악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다시 쇠퇴하였다.
4. 주지주의가 중심이 된 시대 - 예술교육의 가치가 인정되지 않았다.
5. 사상가 1) 헤르바르트
2) 스펜서 - 예술은 생활의 심심풀이다.
* 쉴러의 예술교육론 상류계층 사람들과 일부 재능 있는 사람들을 위한 음악 활동에 국한
6. 19세기 후반 1) 독일을 중심으로 주지주의와 과학만능주의 사조의 폐해에 대한 자각이 일어남
2) 일반 대중을 위한 예술교육운동이 전개
3) 인간교육에 있어 예술의 가치와 필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
4) 19세기 예술문화의 부흥을 가져오게 하였다.
5) 음악교육의 제도를 정착시키고 
6) 음악교육을 질적으로 발전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7. 19세기 유럽의 음악교육 발전에 공헌한 사람들
(1) 러스킨 "참다운 도덕적 인격의 함양은 예술교육에 의해 이루어진다."
(2) 귀조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동들에게 예술교육이 필요하다."
(3) 토마시크 "예술은 인간교육의 일환으로 모든 어린이를 위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8. 19세기 유럽 국가들은 보통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을 정착시키게 되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