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허자(步虛子)를 들어가며-
1. 보허자는 고려 때 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 송나라 사악이다.
송나라 사악 중 악보와 가사가 전하는 유일한 당악곡이다.
* 사악 : 송나라 때 유행하던 운문체를 노랫말로 쓴 음악
2. 오양선의 공연 때 여기가 '벽연농효사'를 보허자령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던 것이 보허자이다.
즉, '오양선' 당악정재의 창사였다.
1) 여기(女妓) : 주로 왕실의 잔치, 의식 등에서 음악과 춤을 담당하는 여자.
여악(女樂)이라고 한다.
2) 창사 : 정재를 출 때 춤추는 사람이 부르는 노래
3) 오양선(五羊仙) 정재 : < 태평환우기 > 책에
" 다섯 명의 신선이 양이 이끄는 수레를 타고 내려와 한 줄기에 여섯 개의 이삭이 담긴 육수거를 효성이 지극한 백성에게 주었다.” 고 전하며, 풍년과 무병장수의 축복을 내려준 후 다시 돌아간다는 이야기를 가진 당악정재이다.
3. 보허자는 미전사와 미후사로 구성되어 있고, 환두형식을 사용한다.
1) 환두형식
4. 보허자는 7장으로 구성되어있는데
1) 7장 중 1, 3, 4장을 발췌하여 당피리 중심의 관악합주편성으로 연주하는 곡은 관악보허자이다.
2) 7장 구성에, 거문고, 가야금 등 현악기 중심으로 연주하는 곡은 현악보허자이며, 보허자의 원형을 가장 많이 간직한 곡이다.
5. 관악보허자와 현악보허자의 비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