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허자의 파생곡
1. 조선 후기에
1) 환두 형식을 가졌던 현악 보허자는 선조 이후부터 향악화하기 시작된다.
2) 본래의 형식이 무너지고, 주법이 한국식으로 고쳐지며, 여러가지 파생곡이 생기게 된다.
2. 보허자의 파생곡은 밑도드리, 웃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4곡이다.
728x90
반응형
'국악 > 보허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악보허자 (0) | 2020.12.29 |
---|---|
관악보허자 (0) | 2020.12.29 |
보허자(步虛子)를 들어가며-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