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보허자

현악보허자

반응형

현악보허자

1.  현악보허자의  다른이름 (아명) 2가지는  보허사,  황하청 이다.

      *  보허사 이름은  영조시대 이후부터 쓰였다.

2.  현악보허자의 악기 편성거문고, 가야금, 양금, 장구, 비파 등 현악기 위주로 편성한다.

3.  현악보허자의 구성7장 구성이다. 

4.  현악보허자의 장단은 

    1)  1 ~  4 장  :  20박

    2)  5 ~  7 장  :  10박

5.  현악보허자의 선법황 태 중 임 남 (황종평조)이다.

6.  현악보허자의 형식환두형식이다.

 

7.  현악보허자의 쓰임새궁중 밖의 풍류방에서 연주하는 풍류음악이다.

8.  현악보허자의 특징 보허자의 원형을 가장 많이 간직한 곡이다.

 

9. 현악보허자가  기록된  악보(책)

   : 대악후보, 안상금보, 속악원보, 유예지, 삼죽금보 등 

 1) 보허자는 『 고려사악지 』에 기록되어 있다.

 2) 조선 중기 선조 무렵부터 향악화 된다.

 3) 『 금합자보 』(1572년) 에는 미전사의 가락과 미후사의 첫 귀에 해당하는

    환두가락만이 전하며, 이러한 형태가 현행 보허사에 그대로 전해지고 있다.

 3) 『 대악후보 』(1759년), 『 안상금보 』(1572년),『 현금신증가령 』(1680년) 순으로 점차 향악화 된다.

 

728x90
반응형

'국악 > 보허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허자의 파생곡  (0) 2020.12.29
관악보허자  (0) 2020.12.29
보허자(步虛子)를 들어가며-  (0)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