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보허자

관악보허자

반응형

관악보허자

1. 보허자 7장 중 1, 3, 4장의 일부를 발췌하여 관악 편성으로 연주한 곡이다.

2. 그래서 관악보허자의 구성 3장 구성이다. 

3. 관악보허자의 다른이름(아명)은 보허자, 장춘불로지곡이다.

     * 장춘불로 : 늙지 말고 오래 사시라는 뜻이다. 

4. 관악보허자의 악기편성

  당피리, 대금, 해금, 당적, 편종, 편경, 아쟁, 장구, 좌고 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합주 편성이다. 

5. 관악보허자가 사용하는 형식은 

  1) 환두 형식

  2) 연음 형식 : 1장과 2장 사이에 짧은 연음 형식 

6. 관악보허자의 장단은 20박 장단 (6 + 4 + 4+ 6)

7. 관악보허자의 선법

 1) 옛보허자 선법 : 7음 구성  -  황,  태,  고,  중,  임,  남,  응 - 황종평조

 2) 현재 관악보허자 선법 : 5,  6음 구성

                           -  5음 :  황, 태, 중, 임, 남

                            - 6음 :  황, 태, 고, 중, 임, 남 

8. 관악보허자의 쓰임새는 

 1) 왕세자의 거동 때 출궁악, 연향음악으로 쓰였다.

 2) 많은 춤에 사용되던 대표적인 춤 반주곡이며, 궁중무용 반주음악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3) 수악절창사 : ‘장생보연지무(궁중정재)’에서 관악보허자의 1, 2장의 가락에 한문 가사를 붙여 노래하는 것을  ‘수악절창사’라고  한다. 

 

728x90
반응형

'국악 > 보허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허자의 파생곡  (0) 2020.12.29
현악보허자  (0) 2020.12.29
보허자(步虛子)를 들어가며-  (0)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