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조와 가곡의 비교
시 조 | 가 곡 | |
내 용 |
1. 조선 시대 후기에 발생한 음악 |
1. 시조시를 가사로 다양한 가락에 얹어, |
특 징 |
1. 대중음악의 성격을 띠는 음악 |
1. 조선 후기에 선비나 중인층 가객들이 |
음 계 |
3음 음계 계면조 |
평조(우조)와 계면조 |
장 단 |
5박과 8박 장단 혼용 |
16박과 10박 장단 |
형 식 |
![]()
|
5장 형식 ![]() |
반 주 |
장구나 간단한 가락악기, 무릎장단 |
세악 편성 반주 |
노 래 |
비전문 음악인의 노래 |
전문 음악인의 노래 |
종장의 끝 3글자 |
종장의 끝 3글자 ‘하느니’ 생략하여 |
초장부터 종장까지 모두 부른다. |
공통점 |
시조시를 가사로 노래 부른다. |
728x90
반응형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이론(십이율명, 삼분손익법, 황종의 음높이) (0) | 2021.01.04 |
---|---|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0) | 2021.01.04 |
평조회상 (0) | 2020.12.29 |
관악영산회상 (0) | 2020.12.29 |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