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조회상
1.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조옮김한 곡이다.
* 평조란 ‘현악영산회상보다 낮은 조’를 의미한다.
2. 평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 2가지는 유초신지곡, 취태평지곡이다.
3. 평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등 향피리 중심의 관현악합주 편성으로 연주한다.
4. 평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1) 음량이 큰 향피리 사용
2) 대금 : 역취, 평취법 사용
3) 해금 : 원산을 중앙으로 옮겨 연주
4) 장구 : 복판을 때려 연주
5) 거문고, 가야금 : 연주자를 배로 늘려 연주한다.
5. 평조회상의 연주곡은 총 8곡으로, 곡목은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이며,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구성되었다 .
6. 평조회상의 선법은
1) 상령산~타령 : 임종계면조 ( 임, 남, 황, 태, 중 )
2) 군악 : 태주평조 ( 태, 고, 임, 남, 황 )
7. 평조회상의 장단은
1) 20박 : 상령산, 중령산
2) 10박 : 세령산, 가락덜이
3) 6박 :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4) 12박(타령장단) : 타령, 군악
8. 평조회상의 쓰임새는
1) 궁중 연례악으로 쓰인다.
2) 궁중정재 ‘춘앵전’의 반주 음악으로 쓰인다.
3) 평조회상 ‘상령산’은 피리, 대금의 독주곡으로 유명하다.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0) | 2021.01.04 |
---|---|
시조와 가곡의 비교 (0) | 2021.01.03 |
관악영산회상 (0) | 2020.12.29 |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0) | 2020.12.29 |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