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

국악이론(민속악)

반응형

국악이론(민속악)

 

1.  경기 민요 음계(경토리) - 경기 지방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솔 · 라 · 도 · 레 · 미’ 의 대표적인 평조 음계

 

2.  남도 민요 음계(육자배기토리) : 전라도 · 충청도 지방 일부에서 부르는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미 · 라 · 도시’

                   - 미 : 떠는 소리,

                   - 라 : 평으로 내는 소리

                   - 시 : ‘도’에서 강하게 꺾어내는 소리

3.  서도 민요 음계(수심가토리) : 황해도 · 평안도 지방에서 부르는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레 · 라 · 도’

                   - ‘라’ 음을 잘게 떨어주며 콧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4.  동부 민요 음계(메나리토리) : 강원도 · 함경도 · 경상도 지방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미 · 솔 · 라 · 도 · 레’

                    - ' 미 · 라 · 도’ 는 골격음

                    -  ‘솔 · 레’ 는 경과음으로 사용된다.

 

  지  역 음  계 특  징
경기민요 음계
(경토리)
경기도 중심 솔 라 도 레 미  부드럽고 유창하고 평온한 느낌이다.
남도민요 음계
(육자배기토리)
충청도 · 전라도 중심 미 라 도시 꺾는 목과 떠는 목의 극적인 표현이 있다.
서도민요 음계
(수심가토리)
황해도 · 평안도 중심 레 라 도 탈탈거리는 콧소리가 특징적이다.
동부민요 음계
(메나리토리)
함경도 · 강원도

· 경상도 

미 (솔) 라 도 (레) 함경도 · 강원도 : 애절하고 슬프다.
경상도 : 빠르고 경쾌하다.

728x90
반응형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악이론(기보법)  (0) 2021.01.05
국악이론(변조, 조옮김, 종지형)  (0) 2021.01.05
국악이론(악조)  (0) 2021.01.04
국악이론(십이율명, 삼분손익법, 황종의 음높이)  (0) 2021.01.04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0)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