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정리/음악교육론

한국 음악사 - 고대와 삼국시대

반응형

 

제천의식 - 온 마을 사람들이 노래 부르고, 춤추고 술을 마시며 즐겼다. 
부여 정월(음력으로 일 년 중 첫째 달)
고구려 10월
동예
마한 5월, 10월
=> 고대의 제천의식과 축제에 음악이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음악 구전에 의한 교육
  집단 안에서 일어나는 자연발생적 형태의 교육
고구려
'삼국사기'  <악지> 기록  (고려, 김부식 저서)
=> " 진나라에서 보내온 칠현금을 재상이었던 왕산악이 새롭게 개량하여 거문고라는 악기를 만들어 1백여 곡을 작곡하고,
       그 악기로 연주하매 검은 학이 날아들어 춤을 추었다"
왕산악 1) 거문고 제작
2) 거문고곡 작곡
3) 거문고 연주에 매우 뛰어남 => 거문고의 대가
당시 거문고 연주자들 - 거문고 음악을 개인적인 교습을 통하여 물려 주었을 것이다.
백제
1. 음악과 춤 - 중국의 영향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2. 일본에도 전파되었다.
3. 서기 554년 1) 일본에 파견된 백제 사람 : 삼근, 기마차, 진노, 진타 등
2) 일본에서 횡적(대금), 군후(거문고), 막목(피리), 춤 등을 가르쳐 주었다. 
4. 미마지 1) 오나라에서 배워 온 기악무를 소년들을 모아 가르쳤다.
2) 일본에도 전해주었다.
3) 당시 여러 사람들에게 춤과 음악을 가르쳤던 교사였다고 할 수 있다.
신라
1. 우륵 1) 원래 가야국 사람
2) 가야국의 멸망 - 제자 이문과함께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로 망명 
3) 신라 진흥왕으로부터 좋은 대우를 받으며 가야금 작품을 쓰고, 후진 양성하였다. 
2. 우륵의 제자 1) 우륵은 각 제자들의 재주를 헤아리며 가르쳤다.
2) 제자 - 1. 계고 - 가야금  
          - 2. 법지 - 노래
          - 3. 만덕 - 춤을 가르쳤다.
3) 우륵으로부터 12곡을 배운 세 사람은
' 번차음하고 아정하지 못한 곡'들은 빼고 5곡을 선정하였다.
우륵은 그것을 인정하였다.
3. 스승 - 우륵 1) 제자들의 개별적 재능을 계발시켜 주었다.
2) 장성한 제자들의 판단력을 인정해주는 포용력을 갖춘
   훌륭한 교육자였다.
4. 거문고 옥보고에 의하여 전승된다.
 - 전승 : 옥보고 -> 송명득 -> 귀금선생 -> 안장과 청장 -> 안장의 아들 극상과 극종 ->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  
5. 음성서 1) 서기 651년(진덕여왕 5년) 설립
2) 신라시대 왕립 음악기관
3) 경덕왕 때 대악감으로 변경
4) 혜공왕 때 음성서로 변경
5) 업무 : 악공의 선발, 교육, 연주, 행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