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반응형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1. 현악영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 2가지는 중광지곡, 거문고 회상이다.

 *  거문고 선율을 중심으로 연주한다고 해서 거문고 회상 이라고 한다 .                                                                                                           

2. 현악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1, 가야금 1, 세피리 1, 대금 1, 해금 1, 장구 1, (단소, 양금) - 세악편성으로 연주한다.

 * 세악(細樂) : 규모가 작은 실내악

 현악영산회상의 연주형태줄풍류 라고 한다. 

 * 줄풍류 : 현악기 중심의 편성(거문고 중심)으로, 거문고 · 가야금 · 세피리 · 대금 · 해금 · 장구 각각  하나씩  편성하여 연주하는 것을 줄풍류 라고 한다.

 

3. 현악영산회상의 악기 연주법현악기(거문고, 가야금) 소리를 들리게 하기 위해

  1)  세피리 사용 (음향 축소)

  2)  대금 :  저취, 평취법 사용

  3)  해금 :  원산을 가장자리로 옮겨 연주

  4)  장구 :  변죽을 쳐서 연주 한다.

              

4. 현악영산회상은 9곡모음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9곡 곡목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 9곡이다.

         

5. 현악영산회상의 박자(장단)는 

 1) 20박 : 상령산,  중령산  

 

 2) 10박 : 세령산,  가락덜이  

   

 3)  6박 :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4) 12박 (타령장단) :  타령,  군악

      

6. 현악영산회상의 선법

  1) 상령산~타령까지 : 황종 계면조 ( 황, 태, 중, 임, 무 ) 

  2)                 군악 :   태주 평조 ( 태, 고, 임, 남, 황 )  

7. 현악영산회상을  연주할 때 

  1) 상령산~군악까지  9곡을 연주할 때는 민회상이라 부르고,

  2) 상령산~군악 + 천년만세를  연주할 때는 가진회상이라 부른다.

 

 ♧ 천년만세

  1) 천년만세는 계면가락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3곡을 천년만세라 부른다.

  2) 천년만세를 가진회상으로 연주할 때 현악영산회상에서 이어지는 것이므로 줄풍류로 편성한다.

  3) 천년만세를 단독 연주관현합주로 연주한다. 

 

8.  현악영산회상의  쓰임새는 선비나 지식인의 풍류음악으로 쓰인다.

 

별곡(別曲) 

1) 별곡이란 현악영산회상을 상령산~군악까지 차례로 연주하지 않고, 

  중간에  도드리와  천년만세를  곁들여  연주하는 별개의 악곡이라는 뜻이다. 

2) 별곡을 다른 말로 정상지곡이라 한다.

3) 현악영산회상, 도드리, 천년만세의 3곡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4곡의 별곡이 생긴다.

 (1) 상령산~삼현도드리 4장의 끝에서 거문고가 평조로 변주 → 도드리(평조)를 연주 후 계면조로 변주 → 삼현도드리 4장~군악까지 연주 → 천년만세 

 (2) 상령산~삼현도드리 4장의 끝에서 거문고가 평조로 변주 → 도드리(평조)를 연주 후 계면조로 변주 → 삼현도드리 4장~군악까지 연주  

 (3) 도드리(평조)를 연주 후 계면조로 변주 → 삼현도드리 4장~군악까지 연주 → 천년만세 

 (4) 도드리(평조)를 연주 후 계면조로 변주 → 삼현도드리 4장~군악까지 연주 

 

728x90
반응형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0) 2021.01.04
시조와 가곡의 비교  (0) 2021.01.03
평조회상  (0) 2020.12.29
관악영산회상  (0) 2020.12.29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0)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