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민요 : 예로부터 민중들이 부르던 전통적인 노래
민족의 정서, 일, 풍속 놀이 등과 같은 삶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2. 우리나라 민요는 전파 범위에 따라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되며,
지역과 음악적 특징에 따라 서도, 경기, 남도, 동부, 제주 민요로 나뉜다.
향토민요 : 그 지방에만 남아 다른 지방에 잘 알려지지 않은 민요 특정 지역에서만 불리며, 그 지방 특유의 감정과 정서가 담긴 민요이다 |
통속민요 : 한 지방에서 생겨났으나 전국에 알려진 노래 전문 소리꾼에 의해 전국적으로 널리 알리진 민요이다. |
3. 토리 : 각 지방에 따라 독특하게 구별되는 음악적 특징을 말한다.
1) 경토리 (경기도 민요의 토리)
1.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일부 지역에 불리는 민요 |
2. 맑고 깨끗한 창법을 사용하여 흥겹고 경쾌한 느낌. 가락은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이다. |
3. 5음으로 구성, 대체로 경쾌하고 밝은 느낌 |
4. 주로 순차진행의 곡들이 많다. |
2) 수심가토리(서도민요의 토리)
1. 평안도와 황해도 지역의 민요 |
2. 밑음으로부터 완전 5도 위의 음을 떨어주는 창법이 특징이다. |
3. 슬프고 애잔한 느낌을 준다. |
4. 다른 민요에 비해 기악반주가 흔하지 않다. |
3) 육자배기토리(남도 민요의 토리)
1. 전라도와 충청도 남부 지역에서 불리는 민요 |
2. 가장 낮은 소리를 굵게 떨고, 중간 소리는 평으로 내며, 높은 소리는 급하게 꺾어 부른다.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꺾는 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3. 극적인 요소가 많으며, 가락이 구성지고, 풍부하다. |
4. 남도민요의 장단: 판소리, 산조 장단을 많이 사용한다.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장단 |
4) 제주 민요
1. 특유의 방언이 주는 독특한 느낌이 특징. |
2. 경기 민요의 특징과 유사. |
3. 주로 어업이나 농업 등과 관련된 노동요가 많다. |
5) 메나리토리(동부민요의 토리)
1. 함경도, 강원도, 경상도 지역에서 불리는 민요 |
2. 함경도 민요 : 탄식조나 애원조로 부르는 구슬픈 노래가 많다. |
3. 강원도 민요 : 소박하고 애수에 찬 노래가 많다. |
4. 경상도 민요 : 장단이 빠르고 경쾌한 것이 특징이다. |
<우리나라 민요>
평안도 : 수심가, 긴자진아리 |
황해도 : 싸름, 산염불, 해주 아리랑, 몽금포타령 |
경기도 : 늴리리야, 창부타령, 아리랑, 도라지타령, 방아타령 |
충청도 : 천안삼거리, 부여농사짓기소리 |
전라도 : 육자배기, 진도 아리랑, 농부가, 강강술래, 새타령 |
제주도 : 오돌또기, 이어도사나, 너영나영, 서우젯소리 |
함경도 : 신고산타령, 궁초댕기 |
강원도 : 한오백년, 정선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
경상도 : 옹헤야, 쾌지나 칭칭나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