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

도드리

반응형

도드리

 
1. 도드리 종류 2가지
 1)  밑도드리
 2)  웃도드리
 
2. 도드리 비교표

도드리

 악곡

 밑도드리

웃도드리 

 원곡

 보허자의 환입 부분을 변주한 곡

 밑도드리를 한 옥타브 위로 변주한 곡

 아명

 수연장지곡, 미환입, 

도드리

 송구여지곡, 세환입, 

잔도드리

 구성

 7장

 악기 편성

 향피리, 거문고, 가야금, 대금, 해금, 장구, 좌고, 박

(관현악 합주)

 장단

 6박 도드리장단

 형식

 황두형식

 선법

 황종 평조( ()=E)

 

<밑도드리>

1. 원래 '도드리'라고 불렸는데웃도드리가 생긴 이후, 웃도드리와 구분하기 위해 

   밑도드리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 밑도드리란 낮은 음역에서 연주하는 도드리라는 뜻이다.

2. 밑도드리가 생겨난 배경 : 밑도드리는 보허자의 환입부분을 변주한 곡이다.

    (현악 보허자 미후사의 둘째구 환입가락에 환두가락을 첨가하여 변주한 곡)

 

4. 밑도드리의 다른 이름(아명) 은 수연장지곡, 미환입, 도드리

5. 밑도드리의 악기편성은 향피리, 거문고, 가야금, 대금, 해금, 장구, 좌고, 박 등 

   관현악 합주 편성이다.  

6. 밑도드리 장단은 도드리 장단(6박)이다.

7. 밑도드리의 선법은 황종 평조 ( ()=E, 황 태 중 임 남 )

8. 밑도드리의 형식은 환두 형식이다.

  ☞ 보허자의 환입 부분에 환두 가락을 붙여 변주하였다

 ※ 환두형식

9. 밑도드리의 특징은 11박으로 연주하는 단순한 진행이 특징이다. 

    (11박은 당악의 특징)

10. 밑도드리의 쓰임새는 풍류음악(합주, 병주, 거문고 독주로 연주) 이다.

11. 

 

<웃도드리>

1. 웃도드리는 밑도드리를 한 옥타브 위로 변주한 곡이다.

2. 웃도드리의 다른 이름(아명)은 송구여지곡, 세환입, 소환입, 잔도드리이다.

3. 웃도드리의 악기편성은 향피리, 거문고, 가야금, 대금, 해금, 장구, 좌고, 박 등 

   관현악 합주 편성이다.  

4. 웃도드리 장단은 도드리 장단(6박)이다.

5. 웃도드리는 보허자의 환입 부분에 환두 가락을 붙여 변주한 밑도드리 를 한 옥타브 위로 올려 변주하였기 때문에 환두형식이다.

6. 웃도드리의 쓰임새는 조선시대에 궁중의 연례악처용무(궁중정재)의 퇴장 때 반주음악으로 쓰인다.

웃도드리 해금보

 

 

728x90
반응형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요  (0) 2021.07.03
시조  (0) 2021.07.03
국악이론(기보법)  (0) 2021.01.05
국악이론(변조, 조옮김, 종지형)  (0) 2021.01.05
국악이론(민속악)  (0) 2021.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