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표현주의
1. 대표학자 | 듀이, 랭거, 마이어, 레너드, 리머로 연결되는 미학적 관점 |
2. 음악이 표현하고자 하는 음향의 상징적 의미에 관심을 둔다. | |
음악이 존재와 느낌의 상태를 의미화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 |
3. 음악과 인간의 삶 - 꼭 같거나 유사한 빠름과 느림, 셈과 여림, 긴장과 이완 등의 역동적 상태와 질을 가지고 있다. | |
4. 랭거 | 1) 인간의 특징적 기본 욕구 중에는 자신의 경험을 상징화 하려는 욕구가 있다. |
2) 음악은 어떤 뚜렷한 특정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 |
그 자체가 인간의 심리적 과정과 느낌의 불완전한 것을 상징한다. | |
표현 형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심미적 창조물이다. | |
인간 감정에 대한 개념을 제공하는 것일 때 예술로 간주한다. | |
5. 예술의 가치 | 삶과의 접촉이라는 점에서 발견하려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실용주의적 견해와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
6. 교사 | 1) 음악의 상징성을 존중한다. |
2) 미적 체험의 목적 : 예술을 통해 삶의 경험을 느끼고 이해하는 데 있으므로 | |
그것을 알게 해 주어야 한다. | |
3) 학생에게는 음악을 통하여 삶의 모습을 관조하도록 권한다. | |
4) 학교 활동에서 음악이 지니는 심성의 정화, 기분전환의 기능을 강조한다. | |
7. 예술가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 : 객관적 실재가 아닌 주관적 느낌 | |
8. 음악작품에서는 주관적 정서가 더 중요하다. | |
9. 비판점 | 1) 음악에서 객관적, 공통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측면이 있는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
2) 음악교육 과정에서 주관적인 느낌과 정서를 강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 |
3) 주관적인 '내면적 느낌'은 교사의 눈에 관찰되지 않는다. |
2. 표현주의
1. 표현주의 화가 | 1) 칸딘스키, 뭉크 |
2) 사물이나 풍경을 시각화하기보다 감정을 시각화한 작가들이다. | |
3) 주관적인 느낌이나 정서를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
2. 음악 | 음악에 나타나는 정서와 느낌을 중요하게 다룬다. |
3. 음악의 가치 | 1) 관련주의 : 음악의 외적인 내용 |
2) 형식주의 : 음악의 본질 | |
3) 표현주의 : 음악이 표현하는 개별적, 주관적 정서 | |
4. 표현주의 관점 | 음악활동을 통해 각 개인이 획득하게 되는 느낌을 중시한다. |
5. 음악 수업 | 학생들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다양한 수단을 통해 드러내는 활동을 한다. |
6. 음악에 대한 사람의 정서적 반응은 매두 다양하다. | |
7. 음악적 느낌에 대한 일관성 있는 답을 존재할 수 없고, 음악에 대한 언어적 설명이 요구되지 않는다. | |
8. 학생 개개인이 스스로 느낄 수 있는 능력의 발달이 더 중요하다. | |
9. 랭거(Langer) | 1) 음악에 있는 느낌은 인간의 경험을 닮은 것이다. |
2) 움직임과 정지, 긴장과 이완, 필요와 충족, 성장과 쇠퇴, 충돌과 해결 등 | |
우리 삶에서 경험하는 삶의 리듬이 음악 안에도 있다 | |
10. 듀이 | 인간은 일상적인 생물학적 삶에서 불균형과 균형, 긴장과 이완, 필요와 충족의 과정을 겪게 되고 |
그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리듬은 심미적 경험의 기초가 된다 | |
11. 비판 | 1) 음악에 공통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측면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 |
2) 개별적인 느낌을 중시할 때 여러 명의 학생들을 동시에 교육해야하는 학교 교육은 한계를 가진다. | |
3) 개별적인 느낌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음악지식에 대한 중요성이 소홀하게 취급될 수 있다. |
728x90
반응형
'음악정리 > 음악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미학 - 절대표현주의 (0) | 2022.02.20 |
---|---|
음악미학 - 형식주의 (0) | 2022.02.17 |
음악미학 - 관련주의 (0) | 2022.02.17 |
음악철학 - 실용주의 (0) | 2022.02.14 |
음악철학 - 실재주의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