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반응형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1. 15세기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上佛菩薩)' 이라는 가사를 붙여 노래 부르던 성악곡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가사는 없어지고, 기악곡으로 전해지고 있다.

2. 가사로 노래하던 원래의 영산회상은 오늘날 현악영산회상의 상령산에 해당된다.

3. 상령산에서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파생되었고,

   삼현도드리 삼현도드리의 변주곡하현도드리추가되고,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추가되어 현재 9곡의 모음곡이 되었다.

  * 모음곡 : 여러 개의 기악 악장들을 모아 하나의 기악곡으로 구성한 .

 

4. 영산회상은 모음곡 형식의 기악곡이다.

5. 영산회상은 악기편성이나 음악적 성격에 따라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으로 나뉜다.

6. 영산회상의 장단은 

 1-1)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의 상령산, 중령산은 20박이다. 

        •  20박 :

 1-2)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중령산        

           갈라치는 20박 :

      

  2)  세령산,  가락덜이        

        •  10박 :

 

  3)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  6박 :

   4)  타령,  군악

        •  12박 ( 타령장단 ) :      

 ⇒ 가장 느린 상령산에서부터 빨라지는 군악까지 '느림 - 보통 - 빠름' 의 단계를 거치는 한배에 따른 형식을 가진다. 

 * 한 배에 따른 형식 : 음악의 느림 - 보통 - 빠름의 단계를 거치는 형식을 한 배에 따른 형식이라 한다. 

 

728x90
반응형

'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0) 2021.01.04
시조와 가곡의 비교  (0) 2021.01.03
평조회상  (0) 2020.12.29
관악영산회상  (0) 2020.12.29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0)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