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7)
2021년 맞이.. 사진으로 2021년을 맞이해본다. 반갑다. 2021년!!!!
국악이론(변조, 조옮김, 종지형) 국악이론(변조, 조옮김, 종지형) 1. 변조 - 국악에서 변조하는 방법 4가지 1) 한 곡 내에서 선법을 변형시킨 경우 (1) 평조에서 계면조로 변한 경우 - 가곡 중 ‘편락’ 3장 중간부터 계면조로 변조 - 가곡 중 ‘반엽’ 3장 후반, 중여음부터 계면조로 변조 - 가곡 중 ‘환계락’ 3장에서 계면조로 변조 (2) 계면조에서 평조로 변한 경우 - 가곡 중 ‘계락’ - 여창 ‘평롱’ 5장에서 평조로 변조 2) 원래 곡의 선법을 바꾸어 다른 곡을 만든 경우 (1) 평조에서 계면조로 변형된 경우 ① 고려 속악 ‘서경별곡’ (황종 평조) → ‘정대업’ 의 ‘영관’ (계면조) ② ‘보태평’ 의 ‘기명’ (평조) → ‘정대업’ 의 ‘독경’ (계면조) ③ ‘우조 초삭대엽’ → ‘계면 초삭대엽 3) 한 곡조 안에서 ..
국악이론(민속악) 국악이론(민속악) 1. 경기 민요 음계(경토리) - 경기 지방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솔 · 라 · 도 · 레 · 미’ 의 대표적인 평조 음계 2. 남도 민요 음계(육자배기토리) : 전라도 · 충청도 지방 일부에서 부르는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미 · 라 · 도시’ - 미 : 떠는 소리, - 라 : 평으로 내는 소리 - 시 : ‘도’에서 강하게 꺾어내는 소리 3. 서도 민요 음계(수심가토리) : 황해도 · 평안도 지방에서 부르는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레 · 라 · 도’ - ‘라’ 음을 잘게 떨어주며 콧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4. 동부 민요 음계(메나리토리) : 강원도 · 함경도 · 경상도 지방 민요의 음계 1) 구성음 : ‘미 · 솔 · 라 · 도 · 레’ - ' 미 · 라..
2020.12.31 -1 갇혀있는 기분... 코로나19.. 겨울,,, 오늘은 2020년 12월 31일... 내일은 2021년 1월 1일인데 말이지.....
2020.12.31 춥다..... 도로 옆 나무... 그래도 천으로 감싸줬네...
국악이론(악조) 국악이론(악조) 1. 『악학궤범』의 악조 : 『악학궤범』은 성종 때까지 우리나라 음악이론을 집대성한 책이다. '중국에는 궁 · 상 · 각 · 치 · 우 5조가 있는데, 우리 음악의 평조는 중국의 치조와 같고, 계면조는 중국의 우조와 같다’ 라고 기술되어 있다. 중국의 치 조 중국의 우 조 2. 악학궤범 ▷ 편찬 목적 : 1493년 성종 24년에 예조판서 성현, 유자광, 신말평, 박곤, 김복근 등이 왕명을 받아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편찬한 악서이다. 9권 3책으로 구성되었다. 3. 『악학궤범』 의 7조 : 평조와 계면조에 각각 7개의 음계를 설명한다. 7개의 조를 둘로 나누어 높은 조를 우조, 낮은 조를 낙시조라고 하는데, 낙시조는 평조로 이름이 바뀐다. 『악학궤범』 7조 각 조의 으..
국악이론(십이율명, 삼분손익법, 황종의 음높이) 국악이론(십이율명, 삼분손익법, 황종의 음높이) 1. 십이율명 : 국악에서도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을 사용해왔으며, 이를 십이율이라고 한다. 2. 율려 : 『악학궤범』 에 의하면 십이율은 양률과 음려로 나누어져 있다고 한다. 3. 십이율 사청성(十二律 四淸聲) 1) 황종에서 응종까지의 십이율과 청황종 · 청대려 · 청태주 · 청협종 4개의 청성을 합쳐 16개의 음을 십이율 사청성(十二律 四淸聲)이라고 한다. 2) 편종 · 편경 · 소 · 생 · 지 등의 악기가 십이율 사청성 음역으로 제한되어 있다. 4. 삼분손익법 1) 12율을 산출해 내는 음률 산정법이다. 황종 율관에서 시작하여 삼분손일과 삼분익일을 교대로 하여 12율관의 길이를 정하는 법칙이다. 2) 삼분손일 : 관의 길이를 3등분하여 그 중 2..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1. 가 곡 이란? : 시조시를 가사로 하여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 음악 ※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는 가곡 중 처음부르는 곡(=초수대엽(初數大葉)) → 초수(初數)는 첫 번째 뜻, 초수대엽은 첫 번째 곡을 의미합니다. 2. 형 식 : 5 장 1) 초수대엽 : 다스름, 1장(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대여음 ▷ 다스름 : 1장(초장)을 노래하기 전에 속도와 호흡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주악기들이 짧은 곡조를 연주하는 것 ♧ 판소리에서 창자가 목을 풀기 위해서 부르는 단가와 같다. ▷ 대여음과 중여음 : 노래는 부르지 않고 악기 반주만 연주한다. 1) 중여음 : 간주 기능 2) 대여음 : 전주 또는 후주 기능, ♧ 초수대엽의 대여음은 후주 기능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