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7)
여민락 여민락 1. 여민락의 다른이름(아명) 2가지는 승평만세지곡, 오운개서조이다. 1) 관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면 : 승평만세지곡이라 부르고, 2) 현악기 위주로 편성하여 연주하면 : 오운개서조라 부른다. 3) 현재는 관현악 합주로 연주하여 승평만세지곡으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2. 여민락의 구성은 7장 구성이다. * 원래 10장 구성이나 마지막 3장(125장)은 없어지고, 현재 7장까지만 전해진다. 3. 여민락의 장단은 1) 여민락 1 ~ 3장 : 갈라치는 20박 2) 여민락 4 ~ 7장 : 10박 3) 여민락 1~3장은 20박, 4~7장은 10박 장단으로 연주하여, 갑자기 속도가 빨라진다.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을 '급박' 이라 한다. 4) 각 장은 32장단으로 구성되는데, 1~12장단까지는 원가락..
여민락(與民樂)을 들어가며- 여민락(與民樂)을 들어가며- 1. 여민락(與民樂)은 ‘백성과 함께 즐긴다 ’ 는 뜻이다. 2. 조선 세종 때 창제된 <봉래의(鳳來儀)>궁중정재의 무용음악 중 2번째 음악이다. ▷ 봉래의(鳳來儀) - 궁중정재(정재 : 춤과 노래) 1) 봉래의는 1445년(세종27) 4월 권제 · 정인지 · 안지 등이 지어올린 ‘용비어천가’의 가사에 맞춰 무악(舞樂)으로 구성한 향악정재 중 하나이다. * 무악(舞樂) : 춤추는 음악 2) 봉래의 음악 구성 : 전인자 · 진구호 · 여민락 · 치화평 · 취풍형 · 후인자 · 퇴구호 전인자 : 죽간자가 등장할 때 관현악기으로 연주 진구호 : 춤이 시작될 때 음악없이 죽간자가 부르는 창사 여민락 : 1 ~ 4장, 125장의 한문으로 된 ‘ 용비어천가 ’ 를 노래 치화평, 취풍형 ..
평조회상 평조회상 1.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조옮김한 곡이다. * 평조란 ‘현악영산회상보다 낮은 조’를 의미한다. 2. 평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 2가지는 유초신지곡, 취태평지곡이다. 3. 평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등 향피리 중심의 관현악합주 편성으로 연주한다. 4. 평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1) 음량이 큰 향피리 사용 2) 대금 : 역취, 평취법 사용 3) 해금 : 원산을 중앙으로 옮겨 연주 4) 장구 : 복판을 때려 연주 5) 거문고, 가야금 : 연주자를 배로 늘려 연주한다. 5. 평조회상의 연주곡은 총 8곡으로, 곡목은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이며,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관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1. 관악영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에서 관악기 중심의 곡으로 변주한 곡이다. 2. 관악영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2가지는 표정만방지곡, 삼현영산회상이다. 3. 관악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향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 삼현육각 편성 * 삼현육각 : 향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의 편성을 삼현육각 편성이라 한다. 4. 관악영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장구 채편은 복판을 연주한다. 5. 관악영산회상의 연주곡은 총 8곡으로,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으로 하현도드리만 빠진 8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6. 관악영산회상의 선법은 1) 상령산 : 황종계면조(황, 태, 중, 임, 무) 2) 중령산~타령 : 황종계면조(황, 협, 중..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1. 현악영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 2가지는 중광지곡, 거문고 회상이다. * 거문고 선율을 중심으로 연주한다고 해서 거문고 회상 이라고 한다 . 2. 현악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1, 가야금 1, 세피리 1, 대금 1, 해금 1, 장구 1, (단소, 양금) - 세악편성으로 연주한다. * 세악(細樂) : 규모가 작은 실내악 현악영산회상의 연주형태를 줄풍류 라고 한다. * 줄풍류 : 현악기 중심의 편성(거문고 중심)으로, 거문고 · 가야금 · 세피리 · 대금 · 해금 · 장구가 각각 하나씩 편성하여 연주하는 것을 줄풍류 라고 한다. 3. 현악영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현악기(거문고, 가야금) 소리를 들리게 하기 위해 1) 세피리 사용 (음향 축소) 2) 대금 : 저취, 평취법 사..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1. 15세기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上佛菩薩)' 이라는 가사를 붙여 노래 부르던 성악곡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가사는 없어지고, 기악곡으로 전해지고 있다. 2. 가사로 노래하던 원래의 영산회상은 오늘날 현악영산회상의 상령산에 해당된다. 3. 상령산에서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가 파생되었고, 삼현도드리와 삼현도드리의 변주곡인 하현도드리가 추가되고,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이 추가되어 현재 9곡의 모음곡이 되었다. * 모음곡 : 여러 개의 기악 악장들을 모아 하나의 기악곡으로 구성한 것. 4. 영산회상은 모음곡 형식의 기악곡이다. 5. 영산회상은 악기편성이나 음악적 성격에 따라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으로 나뉜다. 6. 영산회상의 장단은 1-1) 현악영산회상..
지휘법 지휘법 1. 지휘 지휘란 많은 연주자가 동시에 연주할 때 연주자들에게 음악적 해석과 표현을 통일시키는 작업을 ‘지휘’ 라고 하며, 이 작업을 맡은 사람을 ‘지휘자’ 라고 한다. 지휘자는 악곡의 음악적 해석자, 연주자들의 통솔자, 연주가로서의 역할을 한다. 2. 지휘법 오른팔 ( 기본 박자젓기와 빠르기 ) 1. 오른손으로는 박자와 빠르기를 지시한다. 2. 손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것은 센박, 시작을 의미하며 손을 아래에서 위로 올리는 것은 여린박, 예비박. 손을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은 흘러가는 박으로 여린박이나 중간세기의 박을 의미한다. 왼팔 ( 셈여림과 악상 표현 ) 1. 왼손으로는 셈여림, 호흡, 정지 등 음악적 표현을 지시한다. 2. 새로운 성부가 시작될 때에 왼손으로 성부의 도입을 지시한다. - ..
동무생각 동무생각 1. 작사자/ 작곡자 이은상/ 박태준 2. 조성 다장조 3. 박자 4/4 → 9/8 (변박자) → ( 4박자 지휘 ) → ( 3박자 지휘 ) 4. 연주형태 부분 2부 합창 5. 빠르기 Moderato (보통 빠르게) 6. 악곡 이야기 이 곡은 원래 ‘사우(思友)' 라는 제목의 우리나라 초창기 가곡이다.찬송가와 창가의 영향을 받아 작곡되었다. 7. 가사 (1절) 봄의 교향악이 울려 퍼지는 청라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나는 흰나리 꽃향기 맡으면서 너를 위해 노래, 노래부른다. 청라언덕과 같은 내 맘에, 백합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피어날 적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 청라 : 푸른 담쟁이 ↓처음 ↑← 여기서 부터 부분 2부 합창이며, 박자가 바뀐다. ☆ 9/8 박자 지휘하기 : 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