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조회상
평조회상 1. 평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을 4도 아래로 조옮김한 곡이다. * 평조란 ‘현악영산회상보다 낮은 조’를 의미한다. 2. 평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 2가지는 유초신지곡, 취태평지곡이다. 3. 평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향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등 향피리 중심의 관현악합주 편성으로 연주한다. 4. 평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1) 음량이 큰 향피리 사용 2) 대금 : 역취, 평취법 사용 3) 해금 : 원산을 중앙으로 옮겨 연주 4) 장구 : 복판을 때려 연주 5) 거문고, 가야금 : 연주자를 배로 늘려 연주한다. 5. 평조회상의 연주곡은 총 8곡으로, 곡목은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이며, 하현도드리가 빠진 8곡으로..
관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1. 관악영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에서 관악기 중심의 곡으로 변주한 곡이다. 2. 관악영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2가지는 표정만방지곡, 삼현영산회상이다. 3. 관악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향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 삼현육각 편성 * 삼현육각 : 향피리 2, 대금 1, 해금 1, 장구 1 의 편성을 삼현육각 편성이라 한다. 4. 관악영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장구 채편은 복판을 연주한다. 5. 관악영산회상의 연주곡은 총 8곡으로, →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으로 하현도드리만 빠진 8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6. 관악영산회상의 선법은 1) 상령산 : 황종계면조(황, 태, 중, 임, 무) 2) 중령산~타령 : 황종계면조(황, 협, 중..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현악영산회상과 별곡 1. 현악영산회상을 부르는 다른 말(아명) 2가지는 중광지곡, 거문고 회상이다. * 거문고 선율을 중심으로 연주한다고 해서 거문고 회상 이라고 한다 . 2. 현악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거문고 1, 가야금 1, 세피리 1, 대금 1, 해금 1, 장구 1, (단소, 양금) - 세악편성으로 연주한다. * 세악(細樂) : 규모가 작은 실내악 현악영산회상의 연주형태를 줄풍류 라고 한다. * 줄풍류 : 현악기 중심의 편성(거문고 중심)으로, 거문고 · 가야금 · 세피리 · 대금 · 해금 · 장구가 각각 하나씩 편성하여 연주하는 것을 줄풍류 라고 한다. 3. 현악영산회상의 악기 연주법은 현악기(거문고, 가야금) 소리를 들리게 하기 위해 1) 세피리 사용 (음향 축소) 2) 대금 : 저취, 평취법 사..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영산회상(靈山會相) 을 들어가며 1. 15세기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上佛菩薩)' 이라는 가사를 붙여 노래 부르던 성악곡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가사는 없어지고, 기악곡으로 전해지고 있다. 2. 가사로 노래하던 원래의 영산회상은 오늘날 현악영산회상의 상령산에 해당된다. 3. 상령산에서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가 파생되었고, 삼현도드리와 삼현도드리의 변주곡인 하현도드리가 추가되고,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이 추가되어 현재 9곡의 모음곡이 되었다. * 모음곡 : 여러 개의 기악 악장들을 모아 하나의 기악곡으로 구성한 것. 4. 영산회상은 모음곡 형식의 기악곡이다. 5. 영산회상은 악기편성이나 음악적 성격에 따라 현악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으로 나뉜다. 6. 영산회상의 장단은 1-1) 현악영산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