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악

(24)
국악이론(십이율명, 삼분손익법, 황종의 음높이) 국악이론(십이율명, 삼분손익법, 황종의 음높이) 1. 십이율명 : 국악에서도 한 옥타브를 12개의 반음을 사용해왔으며, 이를 십이율이라고 한다. 2. 율려 : 『악학궤범』 에 의하면 십이율은 양률과 음려로 나누어져 있다고 한다. 3. 십이율 사청성(十二律 四淸聲) 1) 황종에서 응종까지의 십이율과 청황종 · 청대려 · 청태주 · 청협종 4개의 청성을 합쳐 16개의 음을 십이율 사청성(十二律 四淸聲)이라고 한다. 2) 편종 · 편경 · 소 · 생 · 지 등의 악기가 십이율 사청성 음역으로 제한되어 있다. 4. 삼분손익법 1) 12율을 산출해 내는 음률 산정법이다. 황종 율관에서 시작하여 삼분손일과 삼분익일을 교대로 하여 12율관의 길이를 정하는 법칙이다. 2) 삼분손일 : 관의 길이를 3등분하여 그 중 2..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 1. 가 곡 이란? : 시조시를 가사로 하여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우리나라 전통 음악 ※ 가곡 ‘동창이 밝았느냐’는 가곡 중 처음부르는 곡(=초수대엽(初數大葉)) → 초수(初數)는 첫 번째 뜻, 초수대엽은 첫 번째 곡을 의미합니다. 2. 형 식 : 5 장 1) 초수대엽 : 다스름, 1장(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대여음 ▷ 다스름 : 1장(초장)을 노래하기 전에 속도와 호흡을 조절하기 위하여 반주악기들이 짧은 곡조를 연주하는 것 ♧ 판소리에서 창자가 목을 풀기 위해서 부르는 단가와 같다. ▷ 대여음과 중여음 : 노래는 부르지 않고 악기 반주만 연주한다. 1) 중여음 : 간주 기능 2) 대여음 : 전주 또는 후주 기능, ♧ 초수대엽의 대여음은 후주 기능이..
시조와 가곡의 비교 시조와 가곡의 비교 시 조 가 곡 내 용 1. 조선 시대 후기에 발생한 음악 2. 시조시를 가사로 일정한 가락에 얹어 부르는 노래 1. 시조시를 가사로 다양한 가락에 얹어, 전문 소리꾼이 부르던 노래 특 징 1. 대중음악의 성격을 띠는 음악 2. 일반인들이 불렀으며, 지역에 따라 창법에 차이가 있다 1. 조선 후기에 선비나 중인층 가객들이 즐겨 불렀다. 음 계 3음 음계 계면조 평조(우조)와 계면조 장 단 5박과 8박 장단 혼용 16박과 10박 장단 형 식 3장 형식(초장, 중장, 종장)] 5장 형식 반 주 장구나 간단한 가락악기, 무릎장단 세악 편성 반주 (가야금, 거문고,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 노 래 비전문 음악인의 노래 전문 음악인의 노래 종장의 끝 3글자 종장의 끝 3글자 ‘하느니’ 생략..
보허자의 파생곡 보허자의 파생곡 1. 조선 후기에 1) 환두 형식을 가졌던 현악 보허자는 선조 이후부터 향악화하기 시작된다. 2) 본래의 형식이 무너지고, 주법이 한국식으로 고쳐지며, 여러가지 파생곡이 생기게 된다. 2. 보허자의 파생곡은 밑도드리, 웃도드리, 양청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 4곡이다.
현악보허자 현악보허자 1. 현악보허자의 다른이름 (아명) 2가지는 보허사, 황하청 이다. * 보허사 이름은 영조시대 이후부터 쓰였다. 2. 현악보허자의 악기 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양금, 장구, 비파 등 현악기 위주로 편성한다. 3. 현악보허자의 구성은 7장 구성이다. 4. 현악보허자의 장단은 1) 1 ~ 4 장 : 20박 2) 5 ~ 7 장 : 10박 5. 현악보허자의 선법은 황 태 중 임 남 (황종평조)이다. 6. 현악보허자의 형식은 환두형식이다. 7. 현악보허자의 쓰임새는 궁중 밖의 풍류방에서 연주하는 풍류음악이다. 8. 현악보허자의 특징은 보허자의 원형을 가장 많이 간직한 곡이다. 9. 현악보허자가 기록된 악보(책) : 대악후보, 안상금보, 속악원보, 유예지, 삼죽금보 등 1) 보허자는 『 고려사악지 』에..
관악보허자 관악보허자 1. 보허자 7장 중 1, 3, 4장의 일부를 발췌하여 관악 편성으로 연주한 곡이다. 2. 그래서 관악보허자의 구성은 3장 구성이다. 3. 관악보허자의 다른이름(아명)은 보허자, 장춘불로지곡이다. * 장춘불로 : 늙지 말고 오래 사시라는 뜻이다. 4. 관악보허자의 악기편성은 당피리, 대금, 해금, 당적, 편종, 편경, 아쟁, 장구, 좌고 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합주 편성이다. 5. 관악보허자가 사용하는 형식은 1) 환두 형식 2) 연음 형식 : 1장과 2장 사이에 짧은 연음 형식 6. 관악보허자의 장단은 20박 장단 (6 + 4 + 4+ 6) 7. 관악보허자의 선법은 1) 옛보허자 선법 : 7음 구성 - 황, 태, 고, 중, 임, 남, 응 - 황종평조 2) 현재 관악보허자 선법 : 5, 6음 ..
보허자(步虛子)를 들어가며- 보허자(步虛子)를 들어가며- 1. 보허자는 고려 때 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 송나라 사악이다. 송나라 사악 중 악보와 가사가 전하는 유일한 당악곡이다. * 사악 : 송나라 때 유행하던 운문체를 노랫말로 쓴 음악 2. 오양선의 공연 때 여기가 '벽연농효사'를 보허자령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 부르던 것이 보허자이다. 즉, '오양선' 당악정재의 창사였다. 1) 여기(女妓) : 주로 왕실의 잔치, 의식 등에서 음악과 춤을 담당하는 여자. 여악(女樂)이라고 한다. 2) 창사 : 정재를 출 때 춤추는 사람이 부르는 노래 3) 오양선(五羊仙) 정재 : 책에 " 다섯 명의 신선이 양이 이끄는 수레를 타고 내려와 한 줄기에 여섯 개의 이삭이 담긴 육수거를 효성이 지극한 백성에게 주었다.” 고 전하며, 풍년..
해 령 해 령 1. 해령은 여민락령(본령)의 변주곡으로, 본령의 32마루 중 1~16마루를 풀어서 변주한 곡이다. → 변주 방법 : 본령의 음과 음 사이에 사이음을 삽입하거나 앞뒤에 장식음을 넣어 변화시켰다. → 해령은 조선 후기에 생겨난 곡이다. 2. 해령의 다른 이름(아명)은 서일화지곡이다. 3. 해령의 구성은 16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4. 해령의 악기편성은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방향, 박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 편성이다. 5. 해령의 음계는 황(C)-태(D)-고(E)-중(F)-임(G)-남(A)-응(B)의 7음 음계로 구성된다. * '고선'은 2회 출현, '응종'은 1회 출현하여 7음 음계를 느끼기 어렵다. 6. 해령의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다. 7. 해령의 특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