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와 가곡의 비교
시조와 가곡의 비교 시 조 가 곡 내 용 1. 조선 시대 후기에 발생한 음악 2. 시조시를 가사로 일정한 가락에 얹어 부르는 노래 1. 시조시를 가사로 다양한 가락에 얹어, 전문 소리꾼이 부르던 노래 특 징 1. 대중음악의 성격을 띠는 음악 2. 일반인들이 불렀으며, 지역에 따라 창법에 차이가 있다 1. 조선 후기에 선비나 중인층 가객들이 즐겨 불렀다. 음 계 3음 음계 계면조 평조(우조)와 계면조 장 단 5박과 8박 장단 혼용 16박과 10박 장단 형 식 3장 형식(초장, 중장, 종장)] 5장 형식 반 주 장구나 간단한 가락악기, 무릎장단 세악 편성 반주 (가야금, 거문고,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 노 래 비전문 음악인의 노래 전문 음악인의 노래 종장의 끝 3글자 종장의 끝 3글자 ‘하느니’ 생략..
관악보허자
관악보허자 1. 보허자 7장 중 1, 3, 4장의 일부를 발췌하여 관악 편성으로 연주한 곡이다. 2. 그래서 관악보허자의 구성은 3장 구성이다. 3. 관악보허자의 다른이름(아명)은 보허자, 장춘불로지곡이다. * 장춘불로 : 늙지 말고 오래 사시라는 뜻이다. 4. 관악보허자의 악기편성은 당피리, 대금, 해금, 당적, 편종, 편경, 아쟁, 장구, 좌고 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합주 편성이다. 5. 관악보허자가 사용하는 형식은 1) 환두 형식 2) 연음 형식 : 1장과 2장 사이에 짧은 연음 형식 6. 관악보허자의 장단은 20박 장단 (6 + 4 + 4+ 6) 7. 관악보허자의 선법은 1) 옛보허자 선법 : 7음 구성 - 황, 태, 고, 중, 임, 남, 응 - 황종평조 2) 현재 관악보허자 선법 : 5, 6음 ..
해 령
해 령 1. 해령은 여민락령(본령)의 변주곡으로, 본령의 32마루 중 1~16마루를 풀어서 변주한 곡이다. → 변주 방법 : 본령의 음과 음 사이에 사이음을 삽입하거나 앞뒤에 장식음을 넣어 변화시켰다. → 해령은 조선 후기에 생겨난 곡이다. 2. 해령의 다른 이름(아명)은 서일화지곡이다. 3. 해령의 구성은 16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4. 해령의 악기편성은 편종, 편경, 당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좌고, 방향, 박이며, 당피리 중심의 관악 합주 편성이다. 5. 해령의 음계는 황(C)-태(D)-고(E)-중(F)-임(G)-남(A)-응(B)의 7음 음계로 구성된다. * '고선'은 2회 출현, '응종'은 1회 출현하여 7음 음계를 느끼기 어렵다. 6. 해령의 장단은 불규칙 장단이다. 7. 해령의 특징..